본문 바로가기
성경의 세계/성경인물

성격유형(MBTI)에 따른 설교: ESTJ 아브라함

by 파피루스 2025. 5. 5.
반응형

ESTJ 아브라함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오늘 우리가 함께 묵상할 인물은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입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부르심 앞에 순종하여 모든 것을 떠났고, 약속의 자손을 기다리며 오랜 시간 동안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믿고 살아간 인물입니다. 그의 삶은 단지 한 가정의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이 세상 가운데 실현되는 통로였으며, 성경 전체의 구속사적 이야기의 출발점이었습니다. MBTI 성격유형으로 아브라함을 분석해 본다면 그는 ESTJ, 외향적-감각형-사고형-판단형 유형의 대표적인 인물로 볼 수 있습니다.

같은 ESTJ 유형의 인물로는 여호수아, 느헤미야, 드보라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원칙과 질서를 중시하며, 공동체를 위해 책임을 다하는 실천적 리더들이었습니다.


인물 소개

아브라함은 갈대아 우르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고, 본토와 친척과 아비 집을 떠나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가나안 땅으로 갔습니다. 그는 100세가 되어 이삭을 낳고, 하나님의 언약의 상징으로 그 아들을 제물로 드릴 준비를 할 만큼 순종적인 믿음을 가졌습니다. 아브라함은 말씀 앞에서 감정보다 결단으로 반응하였고, 약속을 지키며 책임을 다한 인물이었습니다. 이는 ESTJ형 성격의 대표적인 모습이기도 합니다.


성격유형

아브라함은 ESTJ, 즉 외향적(E), 감각형(S), 사고형(T), 판단형(J)의 성향을 지닌 인물입니다. 그는 낯선 상황에서도 하나님이 주신 지시를 명확히 따르며, 공동체를 이끌고 가족을 보호하는 리더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했습니다. 아브라함은 새로운 땅으로 이동하면서도 체계적으로 장막을 치고, 재산과 종들을 관리하며, 주변 족속들과의 관계에서도 실용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그는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믿음과 이성 사이에서 질서를 세워간 사람이었습니다.

ESTJ는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 안에서 공동체의 질서를 지키는 데 탁월한 사람입니다. 아브라함은 그런 리더로서, 개인의 감정보다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절대 기준에 따라 삶을 결정하였고, 신앙의 선배로서 믿음의 본이 되었습니다.


ESTJ의 특징

ESTJ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유형입니다.

  1. 외향적(E):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에너지를 얻으며, 공동체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선호합니다.
  2. 감각형(S):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보에 집중하며, 실용적인 결정을 내리는 데 능합니다.
  3. 사고형(T): 감정보다 이성과 논리를 우선시하며,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판단합니다.
  4. 판단형(J):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선호하며, 명확한 규칙과 질서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ESTJ는 책임감이 강하며, 변화를 두려워하기보다는 그것을 체계화하려는 성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속한 가정과 조직, 공동체가 질서 속에 유지되도록 헌신하는 지도자입니다.


아브라함의 생애와 교훈

1. 부르심 앞에서 결단한 사람

아브라함은 본토와 친척, 아비 집을 떠나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즉시 순종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라, 철저히 판단하고 결단한 행동이었습니다. ESTJ는 결정력이 뛰어나며, 일단 결정한 일은 끝까지 실천에 옮기는 실행력이 있습니다.

아브라함은 불확실한 미래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며 떠났고, 그 결정은 수많은 민족을 향한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신앙의 길에서도 확고한 기준을 가지고 순종할 수 있도록 도전하게 합니다.

2. 가정을 이끈 리더십

아브라함은 아내 사라와 함께 낯선 땅을 여행하면서도 가정의 질서를 유지하고, 종들과 재산을 관리하며, 때로는 군사를 조직하여 조카 롯을 구출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ESTJ의 실용성과 질서의식이 돋보이는 장면입니다.

아브라함은 가정의 제사장으로서 제단을 쌓고 하나님을 예배하며, 신앙의 중심을 지켰습니다. 이는 오늘날 우리에게도 가정 안에서 질서와 신앙을 함께 세우는 삶의 본을 보여줍니다.

3. 갈등 속에서 실용적 선택을 한 사람

아브라함은 조카 롯과 목자들 사이에 갈등이 생겼을 때, 사사로운 감정이나 권위의식을 내세우지 않고, 먼저 선택권을 롯에게 넘깁니다. 그는 현실적인 해결책을 통해 평화를 추구했으며, 이는 감정보다 공동체의 안정을 더 중요하게 여긴 ESTJ의 실용적인 성향을 잘 드러냅니다.

우리 역시 갈등 속에서 감정적인 반응보다, 공동체 전체의 유익과 평화를 고려한 결단을 내릴 수 있어야 합니다. 아브라함은 그렇게 함으로써 더 큰 복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4. 약속을 기다리고 신실함을 지킨 사람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자손을 약속하셨지만, 그것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그 과정에서 아브라함은 실수도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약속을 신뢰하며 끝까지 인내했습니다.

ESTJ는 목표를 정하면 그것을 이루기 위해 끈기 있게 나아가는 성향을 지니며, 아브라함은 오랜 기다림 속에서도 하나님을 떠나지 않고 결국 약속의 자녀 이삭을 얻습니다. 이는 인내와 신뢰의 신앙을 우리에게 가르쳐줍니다.

5. 순종의 극치를 보여준 이삭 번제 사건

아브라함은 이삭을 제물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명령 앞에서 망설이지 않고 순종합니다. 이 사건은 단지 신뢰의 문제가 아니라, 감정을 넘어서 원칙과 기준에 따라 하나님의 뜻에 자신을 내어놓는 ESTJ형 순종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이 순종은 결국 하나님의 예비하심과 구원의 예표로 이어졌고, 아브라함은 믿음의 조상이라는 칭호를 얻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신앙 안에서 순종을 감정이 아닌 삶의 기준으로 삼아야 함을 교훈합니다.


마무리

사랑하는 성도 여러분, 아브라함은 자신의 성향을 하나님의 손에 맡겨, 믿음의 본이 되었습니다. 그는 결정력 있고 실용적이며 책임감 있는 지도자였습니다. ESTJ로서의 그의 성품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철저한 순종과, 공동체를 위한 헌신 속에서 더욱 빛났습니다.

우리도 아브라함처럼, 혼란의 시대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기준으로 삼고, 가정과 공동체 안에서 신앙과 질서를 세우며, 하나님께 끝까지 순종하는 삶을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하나님은 오늘도 그런 사람을 찾고 계십니다. 그 부르심에 아멘으로 응답하는 저와 여러분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아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