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제성구

출애굽기 7장 4절의 원어 분석과 성경신학적 주해

by 파피루스 2025. 1. 28.
반응형

출애굽기 7장 4절의 원어 분석과 성경신학적 주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바로의 마음이 완강하여 백성 보내기를 거절하는도다

1. 원어 분석

출애굽기 7장 4절은 히브리어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וְלֹא־יִשְׁמַע אֲלֵכֶם פַּרְעֹה וְנָתַתִּי אֶת־יָדִי בְּמִצְרַיִם וְהוֹצֵאתִי אֶת־צִבְאוֹתַי אֶת־עַמִּי בְּנֵי־יִשְׂרָאֵל מֵאֶרֶץ מִצְרַיִם בִּשְׁפָטִים גְּדֹלִים."

  • "וְלֹא־יִשְׁמַע" (Velo-yishma): "듣지 않을 것이다." 이 문장은 바로의 고집스러운 반응을 예고합니다. 여기서 동사 "שָׁמַע"는 "듣다, 순종하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단순히 듣는 행위 이상의 순종적 의미를 포함합니다.
  • "אֲלֵכֶם" (Alekhem): "너희에게." 이는 모세와 아론에게 지칭된 표현으로, 이스라엘의 대변자로서의 역할을 나타냅니다.
  • "פַּרְעֹה" (Paroh): "바로." 이는 이집트의 통치자를 가리키며, 당시 절대 권력의 상징입니다.
  • "וְנָתַתִּי אֶת־יָדִי" (Venatati et-yadi): "내 손을 내밀 것이다." 여기서 "יָד"는 하나님의 능력과 권위를 상징하며, 심판의 도구로 사용됩니다.
  • "בְּמִצְרַיִם" (B'Mitzrayim): "이집트에서." 심판과 구원이 이루어질 장소를 나타냅니다.
  • "וְהוֹצֵאתִי" (Vehotseti): "내가 데리고 나올 것이다." 이는 구원의 행위를 강조하며, 출애굽의 핵심 동사입니다.
  • "אֶת־צִבְאוֹתַי" (Et-tzivotai): "나의 군대들." 여기서 "군대들"은 이스라엘 백성을 상징적으로 가리키며, 조직적인 하나님의 백성으로 묘사합니다.
  • "שְׁפָטִים גְּדֹלִים" (Sh'fatim G'dolim): "큰 심판들." 이는 열 가지 재앙을 포함한 이집트에 임할 심판을 나타냅니다.

이 구절의 구조는 하나님의 계획(바로의 거절 → 하나님의 손 → 큰 심판 → 이스라엘의 구원)이라는 명확한 도식을 제시합니다.

 

2. 성경신학적 주해

2.1 하나님의 주권과 계획

출애굽기 7장 4절은 하나님의 주권적 섭리를 강하게 드러냅니다. 바로의 고집(“듣지 않을 것이다”)은 단순한 인간의 반응으로 보이지만, 하나님은 이를 자신의 구속 역사를 성취하는 도구로 사용하십니다. 로마서 9장 17절에서 바울은 바로를 예로 들어 하나님의 주권과 구속사적 목적을 설명합니다. 하나님은 바로의 마음을 완악하게 하여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는 도구로 삼으셨습니다.

 

2.2 "큰 심판"의 신학적 의미

“큰 심판들”(שְׁפָטִים גְּדֹלִים)은 열 가지 재앙을 통해 하나님이 이집트의 신들과 바로의 권위를 어떻게 심판하실지를 예고합니다. 이 심판은 단순한 형벌이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과 이방인들에게 하나님의 존재와 능력을 나타내기 위한 초월적 계시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출애굽기 12장 12절에서 하나님은 “애굽의 모든 신들을 내가 심판하리라”고 말씀하시며, 심판의 목적이 이교적 체제를 무너뜨리는 데 있음을 밝히십니다.

 

2.3 구속사적 관점에서의 출애굽

출애굽 사건은 구속사적 관점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예표합니다. “내 손을 내밀 것이다”는 하나님의 초자연적介入을 의미하며, 이는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에서 완성됩니다. 여기서 이스라엘 백성은 구약적 교회의 역할을 하며, 이집트에서의 해방은 죄와 죽음에서의 해방을 상징합니다.

 

2.4 하나님의 군대, 이스라엘

“나의 군대들”(צִבְאוֹתַי)은 이스라엘이 단순한 노예 집단이 아닌 하나님의 군대로 불리며, 하나님의 임재 아래 움직이는 백성임을 강조합니다. 이 표현은 출애굽기 12장 41절에서도 반복되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을 부각합니다.

 

2.5 열방을 향한 하나님의 메시지

출애굽기 7장 4절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열방을 향한 하나님의 메시지를 포함합니다. 심판은 이스라엘의 구원뿐 아니라, 이집트를 포함한 모든 열방에 하나님의 존재와 영광을 알리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는 구속사가 단순히 한 민족의 이야기가 아니라, 온 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계획임을 나타냅니다.

 

3. 적용적 메시지

3.1 하나님은 역사의 주관자이십니다.

바로의 반항과 하나님의 심판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께서 악인의 계획을 어떻게 자신의 목적을 위해 사용하시는지 볼 수 있습니다. 성도들은 세상 권력에 두려워하지 않고, 하나님의 주권을 신뢰해야 합니다.

3.2 구원은 하나님의 능력에 의존합니다.

출애굽 사건에서 이스라엘은 자신의 능력으로 구원을 성취하지 않았습니다. 마찬가지로 오늘날 성도들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에 의존해야 합니다.

3.3 하나님의 심판은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심판은 단순한 형벌이 아니라, 구원과 회복을 위한 과정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구원하기 위해 이집트를 심판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죄를 미워하시되, 구원을 열망하신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3.4 하나님의 목적은 온 열방을 향합니다.

출애굽의 메시지는 단순히 이스라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열방에 하나님의 이름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는 오늘날 교회의 선교적 사명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메시지를 제공합니다.

 

출애굽기 7장 4절은 하나님의 주권, 심판, 구원의 복합적 의미를 드러내며,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와 깊은 연결을 갖습니다. 하나님의 손이 역사하시며, 모든 상황에서 그분의 뜻이 이루어진다는 교훈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