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성경 5월 본문
- 1일 시편 119:1 - 119:16
- 2일 시편 119:17 - 119:32
- 3일 시편 119:33 - 119:48
- 4일 시편 119:49 - 119:64
- 5일 시편 119:65 - 119:80
- 6일 시편 119:81 - 119:96
- 7일 시편 119:97 - 119:112
- 8일 시편 119:113 - 119:128
- 9일 시편 119:129 - 119:144
- 10일 시편 119:145 - 119:160
- 11일 시편 119:161 - 119:176
- 12일 에스더 1:1 - 1:22
- 13일 에스더 2:1 - 2:18
- 14일 에스더 2:19 - 3:6
- 15일 에스더 3:7 - 3:15
- 16일 에스더 4:1 - 4:17
- 17일 에스더 5:1 - 5:14
- 18일 에스더 6:1 - 6:13
- 19일 에스더 6:14 - 7:10
- 20일 에스더 8:1 - 8:17
- 21일 에스더 9:1 - 9:19
- 22일 에스더 9:20 - 10:3
- 23일 빌립보서 1:1 - 1:11
- 24일 빌립보서 1:12 - 1:26
- 25일 빌립보서 1:27 - 2:4
- 26일 빌립보서 2:5 - 2:18
- 27일 빌립보서 2:19 - 2:30
- 28일 빌립보서 3:1 - 3:11
- 29일 빌립보서 3:12 - 3:21
- 30일 빌립보서 4:1 - 4:9
- 31일 빌립보서 4:10 - 4:23
에스더서의 특징: 보이지 않지만 일하시는 하나님의 손길
구약 성경의 에스더서는 하나님의 이름이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 유일한 책입니다. 그러나 이 책 속에는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하심, 신자의 용기와 정체성, 그리고 하나님의 구속사적 뜻이 분명하게 흐르고 있습니다. 본문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에스더서의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1. 에스더서 내용 요약
에스더서는 페르시아 제국 아하수에로 왕(헬라식 이름 크세르크세스 1세)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요 무대는 왕의 궁전인 ‘수산성’이며, 등장인물로는 왕후 와스디, 새 왕비가 되는 에스더, 그녀의 사촌 모르드개, 그리고 유대인을 말살하려는 악한 인물 하만이 있습니다.
아하수에로 왕은 명령에 불복한 와스디를 폐위시키고 새로운 왕비를 찾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유대인 고아였던 에스더가 왕비로 선발됩니다. 그녀는 모르드개의 조언으로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왕의 총애를 얻게 됩니다.
한편 모르드개는 왕의 목숨을 노리는 음모를 밝혀 공을 세우지만, 하만은 모르드개가 자신에게 절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깊이 분노하게 됩니다. 하만은 모르드개뿐 아니라 모든 유대인을 말살하고자 왕에게 거짓된 조언을 올립니다. 왕은 그의 말에 속아 유대인을 죽이는 조서를 내리게 됩니다.
이 소식을 접한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왕 앞에 나아가 민족을 구해 달라고 부탁합니다. 에스더는 죽음을 무릅쓰고 왕 앞에 서며, 하만의 음모를 폭로하고 모르드개의 공을 드러냅니다. 결국 하만은 자신이 세운 장대에 매달려 죽게 되고, 유대인은 방어권을 얻게 되어 반격에 성공합니다.
이 구원의 날을 기념하여 유대인들은 ‘부림절’(부르의 날)을 제정하고, 세대에 걸쳐 이 날을 지키기로 합니다. 모르드개는 왕의 총애를 입고 높은 지위에 오르며, 유대인은 평안을 누리게 됩니다.
2. 에스더서의 성경신학적 의미
1) 하나님의 보이지 않는 섭리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이라는 이름이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지만, 그분의 섭리는 이야기 전반에 걸쳐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마치 우연처럼 보이는 모든 사건들이 사실은 하나님의 정교한 계획 안에 있습니다. 왕후 와스디의 폐위, 에스더의 등극, 왕의 불면증, 하만의 몰락과 모르드개의 승격까지 모든 장면은 하나님께서 역사 가운데 어떻게 일하시는지를 보여줍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비록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우리 삶 속에 여전히 살아계심을 확신하게 합니다.
2) 신자의 정체성과 용기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네가 왕후의 자리를 얻은 것이 이때를 위함이 아닌가?”(에스더 4:14)
이 말씀은 에스더서 전체의 핵심 주제로, 신자의 정체성과 사명을 일깨우는 메시지입니다. 에스더는 처음엔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있었지만, 민족의 생명을 위해 결단하고 자신의 위험을 감수하여 왕 앞에 나아갑니다. 이는 신자가 세상 가운데 정체성을 숨긴 채 살아갈 수 없으며, 때로는 믿음을 드러내고 세상의 거센 파도 앞에 맞서야 함을 보여줍니다.
3) 예수 그리스도의 그림자
에스더는 자기 민족의 생명을 살리기 위해 목숨을 걸고 왕 앞에 나아갑니다. 이는 신약의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 죄인을 대신해 십자가를 지신 모습과도 연결됩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백성을 구원하기 위해 중보자로서 역할을 감당하셨고, 죽음을 이기고 생명의 길을 여셨습니다. 에스더는 하나님의 구속사 속에서 그리스도의 그림자로 이해될 수 있는 인물입니다.
4) 흩어진 백성 가운데 임하시는 하나님
에스더서의 배경은 성전도 없고, 예루살렘도 아닌 이방 땅 페르시아입니다. 이는 성전 중심의 구약과는 다른 배경이지만, 하나님은 여전히 그 땅에 흩어진 백성들과 함께하십니다. 이것은 오늘날 이 땅에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하나님은 교회당 안에서만 역사하시는 분이 아니라, 세상 속에서 살아가는 모든 성도들과 동행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5) 구원을 기억하는 신앙, 부림절
에스더서의 마지막은 유대 민족이 하나님의 구원을 기념하는 절기인 ‘부림절’을 제정하는 장면으로 끝납니다. 이는 단순한 절기가 아니라, 하나님의 구원과 은혜를 기억하고 다음 세대에 전하는 신앙의 전통입니다. 오늘날 그리스도인 역시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예배와 절기를 통해 믿음을 세워나가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에스더서는 겉으로 보기엔 한 여인의 정치적 이야기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속에는 하나님의 섭리와 백성을 향한 사랑, 믿음의 결단과 구속사의 흐름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에스더서의 이야기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일하심과, 신자의 사명과 정체성에 대해 깊은 메시지를 전해줍니다.
이 시대의 에스더는 누구입니까?
바로 지금, 하나님께서 우리 각자에게 맡기신 자리가 있다면, 그것은 ‘이때를 위함’이 아니겠습니까?
'매일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성경 5월 2일, 시편 119:17-32 묵상 (0) | 2025.04.20 |
---|---|
매일성경 묵상, 5월 1일, 시편 119:1 - 119:16 (0) | 2025.04.20 |
아가서 8:5-14 묵상, 사랑은 죽음처럼 강하고 (0) | 2025.04.17 |
아가 6:13-8:4 묵상, 술람미 여인의 아름다움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