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를 입은 자의 담대함과 악의 계략
에스더서 5:1-14는 죽음을 각오한 에스더가 왕 앞에 나아가는 장면과, 하만이 모르드개에 대한 분노를 극대화하는 장면이 교차하며 전개됩니다. 이 본문은 겉으로 보기에는 인간적 심리와 정치적 술수가 엇갈리는 장면처럼 보이지만, 그 깊은 이면에는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가 은밀히 흐르고 있습니다. 말씀을 매일 묵상하는 우리로 하여금, 위기의 순간에도 믿음으로 담대히 나아가는 삶을 결단하게 하며, 악이 설쳐도 하나님의 계획은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는 확신을 심어 줍니다. 하나님의 일하심은 언제나 인간의 계산을 넘어, 충성과 믿음 위에 완성됩니다.
죽으면 죽으리라의 신앙과 왕의 긍휼
죽으면 죽으리라는 결단을 한 에스더는 제삼일에 왕궁의 안뜰에 서서 왕 앞에 나아갑니다(5:1). 본문은 그녀가 왕복을 입었다고 기록합니다. 이는 단순한 의복이 아니라, 왕후로서의 신분과 위엄을 갖추고 하나님과 사람 앞에 최선을 다하는 자세를 상징합니다. 히브리어로 '왕복'은 "מַלְכוּת"(말쿠트)로, 권위를 상징하는 단어입니다. 이는 에스더가 인간적 두려움을 넘어서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상징적 행위이기도 합니다.
왕은 에스더를 보자마자 은혜를 베풉니다. 왕이 손에 든 금 규(히브리어 "שַׁרְבִּיט", 샤르빗)를 내밀어 에스더가 목숨을 건 위기의 순간을 넘기게 하십니다(5:2). 고대 근동 문화에서 왕의 금 규는 생명과 죽음을 결정짓는 권위를 상징했습니다. 에스더가 왕의 금 규를 만지는 장면은 신자가 하나님의 은혜에 의해 생명을 얻게 되는 구속사의 그림자입니다.
오늘 우리도 인생의 왕 앞에 설 때, 두려움이 아니라 믿음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에게 금 규를 내미시는 분이십니다. 우리는 우리의 의로 나아가는 것이 아니라, 은혜로 주어진 구원의 문을 담대히 붙들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위기의 순간마다 우리를 위해 은혜의 문을 열어두십니다.
지혜로운 인내와 하나님의 시간
왕은 에스더에게 소원을 묻습니다(5:3). "네 소원이 무엇이냐? 나라의 절반이라도 허락하겠다"는 왕의 말은 과장적 표현이지만, 왕이 에스더에게 가진 호의와 신뢰를 보여줍니다. 그러나 에스더는 즉시 자신의 요청을 꺼내지 않고, 왕과 하만을 잔치에 초대합니다(5:4).
에스더는 잔치 자리에서도 다시 요청을 미룹니다. 잔치 후 왕이 다시 소원을 묻자, 에스더는 다음날 열릴 두 번째 잔치에서 청하겠다고 말합니다(5:7-8). 이는 인간적 조급함을 절제하고, 하나님의 타이밍을 기다리는 믿음의 태도를 보여줍니다. 때로 신앙은 '지금 당장'의 충동을 이기고 하나님의 완전한 때를 기다리는 지혜를 필요로 합니다.
하나님의 섭리는 인간의 조급함을 초월하여 완전한 때에 완전한 방법으로 역사합니다. 기다림은 신앙의 깊이를 만들어 가는 과정입니다. 에스더는 자신의 감정이나 위기의 압박에 휘둘리지 않고, 기도로 준비하고 하나님의 때를 신뢰하는 지혜를 보여줍니다. 우리도 급박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며 기다리는 훈련을 해야 합니다.
악의 분노와 하나님의 준비
한편 하만은 잔치에 초대받은 영광으로 한껏 기뻐하지만, 왕궁 문에 앉아 절하지 않는 모르드개를 보자 그의 기쁨은 즉시 분노로 바뀝니다(5:9). 히브리어로 '분노하다'는 "חֵמָה"(헤마)는 강렬한 분노와 복수심을 나타내며, 하만의 교만한 본심을 적나라하게 드러냅니다.
하만은 모르드개 하나를 죽이는 것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그의 민족 전체를 말살하려는 계획을 확고히 합니다. 그의 아내 세레스와 친구들은 모르드개를 달아 매기 위해 50규빗(약 23미터) 높이의 장대를 세우라고 조언합니다(5:14). 이 높이는 하늘에 닿을 듯한 과장된 교만을 상징합니다. 하만은 이 제안을 듣고 즉시 실행에 옮기려 합니다.
그러나 인간의 악한 계획은 하나님의 섭리 속에서 도리어 악인 자신을 향한 심판의 도구가 됩니다. 하만이 세운 장대는 결국 자신이 매달리는 도구가 됩니다. 성경은 이처럼, "함정을 판 자는 스스로 그 함정에 빠진다"(시편 7:15)는 원리를 일관되게 가르칩니다.
오늘날에도 우리는 악이 당장 번성하는 듯 보이는 현실을 마주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공의는 지체되지 않으며, 악인의 궤계는 결코 끝까지 승리하지 못합니다. 신자는 눈에 보이는 현실 너머에 계신 하나님의 섭리를 바라보며, 의의 길을 포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악은 자멸할 것이며, 하나님의 백성은 결국 구원을 얻을 것입니다.
마무리
에스더서 5:1-14는 인간의 담대한 순종과 악의 교만이 교차하는 장면입니다. 에스더는 죽음을 각오하고 은혜를 입어 왕 앞에 나아갔고, 하만은 교만과 분노로 자기 파멸을 향해 달려갑니다. 하나님의 섭리는 은밀하게 그러나 분명하게 역사의 흐름을 이끌고 계십니다.
우리도 위기의 순간에 은혜를 구하며 담대히 나아가야 합니다. 그리고 세상의 악이 번성하는 것처럼 보일 때에도 하나님의 정의와 심판을 신뢰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하나님은 결코 침묵하거나 방관하지 않으십니다. 하나님의 때는 반드시 옵니다.
지금 내가 처한 자리, 내가 직면한 두려움과 시험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하나님께서 나를 준비시키시고,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부르신 자리입니다. 그러므로 오늘 우리도 에스더처럼 죽으면 죽으리라는 믿음으로 담대히 설 때, 하나님의 손이 우리를 붙들고, 구원의 역사를 이루어 가실 것입니다. 악이 아무리 높아져도, 하나님께서 높이시는 자는 결국 하나님의 영광을 드러내게 됩니다.
'매일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더 6:14-7:10 (0) | 2025.04.26 |
---|---|
에스더 6:1 - 6:13 그 밤에 왕이 잠이 오지 아니하므로 (0) | 2025.04.26 |
에스더 4:1 - 4:17 죽으면 죽으리이다 (0) | 2025.04.26 |
에스더 3:7 - 3:15 하만이 유대인을 멸하려 하다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