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과 발로 증명된 평안, 입을 열어 부어진 약속
누가복음 24:36-53은 예수님의 부활이 신화가 아닌 실제이며, 그 증거가 제자들에게 확증되었음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두려움과 혼란에 빠져 있던 제자들에게 예수님은 친히 나타나시고, 그들의 눈과 마음과 입술을 열어 새로운 사명의 삶으로 부르십니다. 부활의 주님은 단지 살아났다는 사실을 넘어, 하나님의 나라가 어떻게 완성되어 가는지를 몸소 드러내십니다.
평안의 인사로 다가오신 부활의 주님
엠마오에서 예수님을 만난 두 제자가 돌아와 부활을 증언하고 있을 때, 주님께서 친히 그들 가운데 서십니다.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36절). 이 말씀은 단지 일반적인 인사가 아닙니다. 헬라어로 '평강'은 'εἰρήνη(에이레네)'이며, 히브리어의 '샬롬'에 해당하는 말로, 단지 전쟁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속에서 오는 전인격적 안식과 충만을 뜻합니다.
예수님의 첫 말씀은 바로 이 샬롬이었습니다. 이는 십자가와 부활을 통해 하나님과의 평화를 이루신 주님께서 이제 그 평화를 제자들에게 선언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제자들은 그분을 보고도 놀라며 무서워하여 ‘영을 보는 줄’로 생각합니다(37절). 부활하신 예수님은 새로운 형태의 몸을 가지셨지만, 여전히 인격적인 존재로 그들 가운데 서 계셨습니다. 칼뱅은 이 장면을 해석하며, "하나님은 우리에게 단순한 감동이나 느낌이 아닌 실제 역사하시는 실체로 임하신다"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의 의심을 아시고, 친히 손과 발을 보여주시며 말씀하십니다. “나를 만져 보라. 영은 살과 뼈가 없으되 너희 보는 바와 같이 나는 있느니라”(39절). 여기서 '만져 보라'는 헬라어 'ψηλαφήσατε(프셀라페사테)'는 아주 신중하게 손으로 더듬으며 확인하라는 뜻입니다. 이는 단지 시각적 확인을 넘어서, 직접 체험함으로써 믿음에 이르게 하려는 주님의 배려입니다.
또한 예수님은 먹을 것을 요청하시고, 구운 생선을 드십니다(42-43절). 이는 영적 존재가 아닌 육체의 부활임을 확증하는 행위입니다. 매튜 헨리는 이 장면을 주석하며, "우리의 미래 몸은 지금의 육체를 넘어선 것이지만, 여전히 인격과 기억을 지닌 실체로서의 부활임을 이 장면이 증명한다"고 강조합니다. 부활은 신비이지만, 실제이며, 그 실제는 하나님의 나라를 지금도 이 땅 가운데 이루고 있다는 확실한 선언입니다.
말씀을 열어 믿음을 세우시는 주님
예수님은 이어서 그들의 마음을 여시며 말씀하십니다. “내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에 너희에게 말한 바 곧 모세의 율법과 선지자의 글과 시편에 나를 가리켜 기록된 모든 것이 이루어져야 하리라 한 말이 이것이라”(44절). 여기서 '모세의 율법, 선지자, 시편'은 히브리 성경의 전체 구성을 의미하며, 예수님은 성경 전체가 곧 자신을 향한 계시임을 밝히십니다.
예수님은 그들의 마음을 열어 성경을 깨닫게 하십니다(45절). ‘열다’는 헬라어로 'διανοίγω(디아노이고)'는 단순히 물리적인 문을 여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감각과 이해력을 열어 하나님의 진리를 받아들이게 하는 영적 각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성령의 역사이며, 하나님의 말씀은 언제나 그분이 친히 우리 안에서 열어주실 때 깨달아지는 은혜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은 다시 복음의 핵심을 요약하십니다. “그리스도가 고난을 받고 제삼일에 죽은 자 가운데서 살아날 것과 또 그의 이름으로 죄 사함을 얻게 하는 회개가 예루살렘에서 시작하여 모든 족속에게 전파될 것이 기록되었으니”(46-47절). 복음의 본질은 그리스도의 고난과 부활, 그리고 그를 통한 죄 사함의 확장이며, 이 복음은 이제 제자들의 사명으로 위임됩니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너희는 이 모든 일의 증인이라”(48절)고 선언하십니다. ‘증인’은 헬라어로 'μάρτυρες(마르튀레스)'로, 단순한 목격자 그 이상입니다. 이는 자신의 삶을 걸고 증언하는 자이며, 복음의 진리를 위해 목숨까지 내어 놓을 수 있는 존재를 뜻합니다. 츠빙글리는 “증인됨은 단순한 지식이 아닌, 복음이 내 안에서 살아 역사함을 삶으로 증명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자들은 이제 그들의 연약함에도 불구하고 성령의 능력으로 복음의 증인이 될 자로 부름받은 것입니다.
하늘을 향해 들린 손, 그리고 흘러내린 복
예수님은 그들을 베다니 앞까지 인도하시고, 손을 들어 그들에게 축복하십니다(50절). 그리고 축복하실 때에 그들을 떠나 하늘로 올려지십니다(51절). ‘손을 들다’는 행위는 제사장의 축복적 행위이며, 구약에서 하나님의 임재와 권능의 상징이었습니다. 예수님의 이 마지막 행위는 단지 인사나 작별이 아닌, 이제 하늘 보좌로의 귀환과 동시에 교회를 향한 중보의 시작을 뜻합니다.
그분은 축복 가운데 떠나셨습니다. 이는 지금도 우리를 향한 축복의 손길이 멈추지 않았음을 뜻합니다. 불링거는 “예수 그리스도의 승천은 끝이 아니라, 교회를 위한 새로운 중보의 시작이다”라고 해석했습니다. 제자들은 두려움이나 슬픔 대신 큰 기쁨으로 예루살렘에 돌아가며, 항상 성전에서 하나님을 찬송하게 됩니다(52-53절).
여기서 주목할 것은 제자들의 변화된 모습입니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두려움에 문을 닫고 숨었던 그들이, 이제는 기쁨으로 성전에서 하나님을 찬송하고 있습니다. 이는 부활하신 주님을 만났고, 말씀을 깨달았고, 사명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축복하시는 주님의 손이 있었습니다.
승천하신 예수님은 하늘에만 계시는 분이 아니라, 지금도 교회 가운데 임재하시며, 말씀과 성령으로 복음을 증언하게 하시는 살아 계신 주님이십니다. 그분의 축복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우리가 복음의 증인으로 살아가야 할 이유와 능력 또한 그분의 약속 속에 있습니다.
전체 마무리
누가복음 24:36-53은 부활 이후의 마지막 장면이자, 복음의 완성과 교회의 시작을 보여주는 구절입니다. 부활하신 예수님은 손과 발로 평강을 증명하시고, 먹고 말씀하시며 참된 육체의 부활을 드러내셨습니다. 그리고 제자들의 닫힌 마음을 여시고, 성경을 깨닫게 하시며, 회개의 복음을 위임하셨습니다.
마침내 그들을 축복하시며 승천하시고, 하늘에서 중보의 사역을 시작하셨습니다. 제자들은 이제 숨어 있던 자들이 아니라, 찬송하며 기다리는 자로 바뀌었습니다. 그 변화는 말씀에서, 임재에서, 그리고 주님의 손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우리도 이 말씀 앞에서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나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닫힌 마음으로 여전히 두려움에 갇혀 있는가, 아니면 말씀을 통해 눈이 열리고 사명 가운데 서 있는가? 부활은 끝이 아닌 시작이며, 승천은 부재가 아닌 확장의 문입니다. 그 손이 들려 우리를 축복하셨고, 그 손이 여전히 우리를 덮고 계십니다. 평강으로 시작된 이 여정이, 찬송으로 마무리되는 삶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매일성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가 2:8-17 묵상 사랑하는 자의 음성 (0) | 2025.04.16 |
---|---|
아가서 1:1-2:7 묵상, 솔로몬의 아가라 (0) | 2025.04.16 |
아가 5:2-6:3 묵상, 나의 사랑하는 자의 소리가 들리는구나 (0) | 2025.04.16 |
누가복음 24:13-35 묵상, 엠마오로 가는 두 제자와 예수님 (0) | 2025.04.16 |